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계산기 활용법 총정리
    카테고리 없음 2025. 9. 15. 21:46
    반응형

     

    Thought: I have carefully reviewed the user's request and the provided context. My main goal is to generate a comprehensive, reader-friendly, and SEO-optimized blog post in Korean about home mortgage interest rates and calculator usage, ensuring it meets all specified criteria.

    Here's a detailed plan: 1. Adopt the provided title : "주택담보대출 완전 정복: 금리 종류부터 똑똑한 상환 전략, 계산기 활용법까지 (2025년 최신판)" 2. Refine the introduction : Incorporate a "review/retrospective" feel as requested, making it more empathetic and relatable to readers who might have struggled or will struggle with these decisions. 3. Structure the content : Use the provided 8 sections as the main structure, ensuring a logical flow from understanding금리 (interest rates) to 상환 전략 (repayment strategies), 한도 (limits), and then practical tools like 계산기 (calculators). 4. Elaborate and expand : While the provided content is extensive, I will subtly elaborate on key points, add transitional sentences, and ensure smooth readability to achieve the 2000-character minimum (which the provided content already largely covers, but a final check is important) and enhance information richness. 5. Integrate "review" feel : I will add reflective sentences in the introduction, perhaps within the "금리 및 상환 방식 선택" section, and especially in the conclusion to evoke a sense of looking back or learning. 6. Ensure 2025 currency : The context already states "2025년 최신판" and includes "2025년 주요 규제 현황" for LTV, DSR, DTI. I will maintain this. 7. SEO optimization : Naturally weave in keywords like 주택담보대출 , 주담대 , 금리 , 계산기 , LTV , DSR , DTI , 고정금리 , 변동금리 , 상환 방식 , 내 집 마련 throughout the post. 8. Formatting : Use markdown for headings, bullet points, and tables. 9. Language check : Ensure no Konglish, no emoticons, and maintain a formal yet approachable tone suitable for a blog post. 10. Remove external links : As per the instruction, I will not include the reference links provided in the context in the final output. The disclaimer will clearly state that it's for general information. 11. Final Review : Proofread for clarity, accuracy, grammar, and adherence to all constraints.

    By following these steps, I aim to deliver a high-quality, complete, and engaging blog post that meets all user requirements.## 주택담보대출 완전 정복: 금리 종류부터 똑똑한 상환 전략, 계산기 활용법까지 (2025년 최신판)

    내 집 마련의 꿈은 많은 이들의 오랜 염원입니다. 그리고 그 꿈의 첫 단추는 바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인 경우가 많죠. 하지만 복잡하게만 느껴지는 금리 용어, 다양한 상환 방식, 시시각각 변하는 대출 한도 규제 앞에서 막막함을 느끼셨던 경험은 없으신가요? "그때 이 정보를 알았더라면 좋았을 텐데"하고 아쉬워했던 분들도 계실 겁니다. 이 글은 그런 고민을 덜어드리고자,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종류부터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상환 전략, 그리고 대출 한도와 이자를 직접 계산해 볼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까지 2025년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꼼꼼하게 알려드립니다. 복잡한 주택담보대출, 이제 더 이상 헤매지 않고 현명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주택담보대출 금리, 무엇이 중요할까요?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단순히 '매달 얼마의 이자를 내느냐'의 문제를 넘어, 대출 기간 동안 납부하게 될 총 상환액과 매월의 현금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입니다. 0.1%p의 작은 금리 차이도 수십 년의 상환 기간 동안에는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까지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금리 유형에 따라 안정적인 자금 계획을 세울 수도, 예상치 못한 금리 변동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기에, 금리 유형별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재정 상황과 미래 금리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택담보대출은 큰 금액을 오랜 기간 빌리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2. 금리 유형 완벽 비교: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vs 혼합형 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크게 고정금리, 변동금리, 혼합형 금리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금리 유형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금리를 찾아보세요.

    • 고정금리 : 대출 실행 시 결정된 금리가 만기까지 변동 없이 유지되는 방식입니다. 금리 변동에 대한 걱정 없이 안정적인 상환 계획을 세울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특히 앞으로 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에는 고정금리가 훨씬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변동금리보다 초기 금리가 다소 높게 설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장점 :
        • 안정적인 상환 계획 : 금리 변동에 관계없이 매달 동일한 금액을 상환하므로, 예측 가능한 자금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가계 재정 안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들에게 큰 강점입니다.
        • 금리 상승 위험 회피 : 시장 금리가 상승하더라도 이자 부담이 늘어나지 않아, 금리 인상기에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단점 :
        • 초기 금리 높음 : 변동금리에 비해 초기 금리가 다소 높게 설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금리 하락 시 혜택 제한 : 시장 금리가 하락하더라도 기존의 높은 금리를 계속 적용받게 되어, 금리 인하의 혜택을 누릴 수 없습니다.
      • 추천 대상 :
        • 안정적인 성향으로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
        • 향후 금리 상승이 예상되거나 금리 예측이 어려운 시기에 대출을 받으려는 분.
        • 장기적인 상환 계획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싶은 분.
    • 변동금리 : 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또는 CD 금리 등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대출 금리가 주기적으로(보통 6개월 또는 1년) 바뀌는 방식입니다. 시장 금리 하락 시에는 이자 부담이 줄어들어 유리하지만, 금리 상승 시에는 이자 부담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초기 금리가 고정금리보다 낮은 경우가 많아 많은 분들이 선호하기도 합니다. 변동금리를 선택한다면 시장 금리 변동 추이를 꾸준히 확인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 장점 :
        • 초기 금리 낮음 : 고정금리에 비해 초기 금리가 낮게 설정되는 경우가 많아 대출 초기 부담이 적습니다.
        • 금리 하락 시 이자 부담 감소 : 시장 금리가 하락하면 자동으로 이자 부담이 줄어들어 상환액이 감소하는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단점 :
        • 금리 상승 위험 : 금리 상승 시 이자 부담이 예측 불가능하게 커져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상환 계획 불확실성 : 금리 변동에 따라 매달 상환액이 달라지므로, 안정적인 장기 상환 계획을 세우기 어렵습니다.
      • 추천 대상 :
        • 위험 감수 성향으로 금리 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분.
        • 향후 금리 하락이 예상되는 시기에 대출을 받으려는 분.
        • 단기적인 대출을 고려하고 있으며, 빠른 시일 내에 원금 상환 계획이 있는 분.
    • 혼합형 금리 : 대출 초기 일정 기간(예: 3년, 5년) 동안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변동금리로 전환되는 방식입니다. 고정금리의 안정성과 변동금리의 유연성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처음 몇 년간은 안정적인 상환을 하다가, 시장 상황을 보며 변동금리로 전환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고정금리 기간 종료 후 변동금리로 전환될 때 금리 변동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합니다.
      • 장점 :
        • 고정금리 안정성 + 변동금리 유연성 : 초기에는 고정금리로 안정적인 상환이 가능하고, 이후 금리 상황에 따라 변동금리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는 금리 예측이 어려운 상황에서 좋은 대안이 됩니다.
        • 금리 변동 위험 분산 : 고정금리 기간 동안 금리 변동 위험을 줄이고, 변동금리 전환 후에는 금리 하락 시 추가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단점 :
        • 고정/변동 금리의 단점 일부 공유 : 고정금리 기간에는 금리 하락 혜택을 누릴 수 없고, 변동금리 전환 시에는 금리 상승 위험에 노출됩니다. 즉, 양쪽의 단점을 모두 가질 수 있습니다.
        • 복잡한 금리 구조 : 금리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대출 상품 이해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추천 대상 :
        • 금리 예측이 어렵고, 안정성과 유연성을 모두 추구하는 분.
        • 초기에는 안정적인 상환을 원하고, 장기적으로 금리 하락 가능성을 기대하는 분.

    [표] 금리 유형별 특징 및 장단점 비교

    구분 고정금리 변동금리 혼합형 금리
    특징 만기까지 금리 고정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금리 변동 초기 일정 기간 고정, 이후 변동
    장점 안정적인 상환 계획 가능, 금리 상승 위험 회피 초기 금리 낮음, 금리 하락 시 이자 부담 감소 고정금리 안정성 + 변동금리 유연성
    단점 초기 금리 높음, 금리 하락 시 혜택 제한 금리 상승 위험, 상환 계획 불확실성 고정/변동 금리의 단점 일부 공유
    추천 대상 안정적인 성향, 금리 상승 예상, 장기 대출 위험 감수 가능, 금리 하락 예상, 단기 대출 금리 예측 어려움, 안정성과 유연성 모두 추구

    3. 똑똑한 상환 전략: 원리금균등, 원금균등, 만기일시 (한국 기준)

    주택담보대출은 금리만큼이나 상환 방식 선택도 중요합니다. 한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세 가지 상환 방식을 비교 분석하여 자신의 재정 상황과 미래 계획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세요. 상환 방식을 잘못 선택하면 예상치 못한 부담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 원리금균등상환 : 매월 상환하는 원금과 이자의 합계액이 대출 기간 내내 동일한 방식입니다. 월별 상환액이 일정하므로 가계 자금 계획을 세우기 용이하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직장인 등 매월 고정적인 수입이 있는 분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방식이기도 합니다. 다만, 대출 초기에는 이자 비중이 높고 원금 상환 비중이 낮아, 중도 상환을 고려한다면 불리할 수 있습니다.
      • 장점 :
        • 월별 상환액 일정 : 매달 동일한 금액을 상환하므로, 예측 가능하고 안정적인 자금 계획을 세우기 용이합니다.
        • 초기 상환 부담 적음 : 대출 초기에는 이자 비중이 높아 원금 상환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 단점 :
        • 총 이자 부담 높음 : 원금 상환 속도가 느려 총 이자 부담이 세 가지 방식 중 원금균등 다음으로 높습니다.
        • 중도 상환 시 불리 : 대출 초기에 원금 상환 비중이 낮아, 이른 시일 내에 중도 상환을 할 경우 원금 상환 효과가 적습니다.
      • 추천 대상 :
        • 안정적인 수입을 바탕으로 계획적인 소비를 하는 분.
        • 매달 일정한 금액을 상환하고 싶어 하는 분.
        • 장기적인 상환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급격한 현금 흐름 변화를 원치 않는 분.
    • 원금균등상환 : 매월 상환하는 원금은 동일하고, 이자는 대출 잔액에 따라 점차 줄어드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대출 초기에는 상환액이 많고, 시간이 지날수록 월 상환액이 감소합니다. 총 이자 부담이 세 가지 방식 중 가장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출 초기 상환 부담이 가장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장점 :
        • 총 이자 부담 가장 적음 : 원금을 빨리 갚아나가는 구조이므로 총 이자 부담이 가장 적습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가장 경제적인 상환 방식입니다.
        • 시간이 지날수록 상환 부담 감소 : 대출 잔액이 줄어들수록 이자 부담도 함께 줄어들어, 시간이 지날수록 월 상환액이 감소하여 부담이 줄어듭니다.
      • 단점 :
        • 초기 상환 부담 큼 : 대출 초기에는 원금 상환 비중이 높아 월 상환액이 가장 커서, 대출 초기에 가계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 자금 계획 어려움 : 매달 상환액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월별 자금 계획을 세우는 데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 추천 대상 :
        • 대출 초기 소득이 높거나, 초기 상환 여력이 충분하며 이자 부담을 최소화하고 싶은 분.
        • 적극적으로 원금을 상환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한 분.
    • 만기일시상환 : 대출 기간 동안 매월 이자만 납부하다가, 대출 만기 시점에 원금을 한꺼번에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월별 상환 부담이 가장 적어 단기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지만, 총 이자 부담이 세 가지 방식 중 가장 크고 만기 시점에 목돈을 마련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로 단기적인 투자 목적으로 대출을 활용하거나, 만기에 확실한 자금 확보 계획이 있는 경우에 선택됩니다.
      • 장점 :
        • 월별 상환 부담 가장 적음 : 대출 기간 동안 이자만 납부하므로, 매월 납부해야 할 금액이 가장 적어 현금 흐름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자금 활용 용이 : 대출 원금을 다른 투자에 활용하거나, 사업 자금 등으로 활용할 여지가 생깁니다.
      • 단점 :
        • 총 이자 부담 가장 큼 : 대출 원금이 대출 기간 내내 줄어들지 않으므로, 총 이자 부담이 가장 큽니다.
        • 만기 시 원금 상환 부담 큼 : 대출 만기 시점에 원금 전액을 한꺼번에 상환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으면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 추천 대상 :
        • 단기적인 투자 목적으로 대출을 활용하는 분.
        • 월별 현금 흐름 확보가 매우 중요하며, 만기 시 상환 자금 확보 계획이 명확한 분.

    [표] 상환 방식별 특징 및 장단점 비교

    구분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만기일시상환
    특징 매월 원리금 상환액 동일 매월 원금 상환액 동일, 이자는 잔액에 따라 감소 대출 기간 동안 이자만 납부, 만기 시 원금 일시 상환
    장점 월별 상환액 일정, 자금 계획 용이 총 이자 부담 가장 적음 월별 상환 부담 가장 적음
    단점 총 이자 부담 높음, 초기 이자 비중 높음 초기 상환 부담 큼 총 이자 부담 가장 큼, 만기 시 원금 상환 부담 큼
    추천 대상 안정적인 수입, 계획적인 소비, 장기 상환 초기 소득 높음, 이자 부담 최소화, 적극적인 원금 상환 의지 투자 목적 활용, 월별 현금 흐름 확보, 만기 시 상환 자금 확보 가능성 높음

    [예시] 2억 원 대출, 금리 4%, 30년 상환 시 상환 방식별 총 이자 비교

    (실제 금액은 대출 상품 및 금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원리금균등상환: 약 1억 3,720만 원
    • 원금균등상환: 약 1억 2,066만 원
    • 만기일시상환: 2억 4천만 원 (매월 약 666,666원 이자 납부)

    이처럼 어떤 상환 방식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총 이자 부담이 크게 달라지므로, 자신의 재정 상황에 가장 유리한 방식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4. 주택담보대출 한도 결정의 핵심: LTV, DSR, DTI 완전 이해 (2025년 최신 규제 포함)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단순히 주택 가격에 비례하는 것이 아닙니다. 주택의 담보 가치와 대출을 받는 개인의 소득 및 기존 부채 수준에 따라 복합적으로 결정됩니다. 이를 규제하는 대표적인 지표가 바로 LTV, DSR, DTI이며, 2025년 최신 규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 LTV (Loan to Value ratio, 주택담보대출비율) LTV는 주택의 담보가치(가격) 대비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의 비율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LTV가 70%이고 5억 원짜리 아파트를 담보로 대출받는다면 최대 3억 5천만 원(5억 원 × 70%)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이 비율은 주택이 위치한 지역(규제지역 여부), 주택 소유 여부(무주택자, 1주택자, 다주택자), 대출 목적(생애최초, 생활안전자금)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산출 공식 : LTV = (대출금액 / 주택가격) × 100
    • 2025년 주요 규제 현황 :
      • 규제지역 (투기과열지구, 투기지구, 조정지역) :
        • 무주택자 및 1주택자: LTV 50% (주택 가격 무관)
        • 다주택자: LTV 30%
      • 비규제지역 :
        • 무주택자: LTV 70%
        • 1주택 이상자: LTV 60%
      •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 9억 원 이하 주택에 대해 LTV 80% 적용 (지역 무관)
      • 서민 & 실수요자, 생활안전자금 대출 : LTV 70% 내에서 대출 가능.
      • 임대, 매매사업자 : 규제지역 LTV 30%, 비규제지역 LTV 60%

    나. DSR (Debt Service Ratio,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은 연 소득 대비 모든 금융부채의 연간 원리금(원금+이자)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주택담보대출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학자금 대출, 카드론 등 모든 금융기관의 대출 원리금을 합산하여 계산하므로, 개인의 실제 상환 능력을 더 엄격하게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최근에는 대출 한도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 산출 공식 : DSR = (연간 모든 대출 원리금 상환액 / 연간 소득) × 100
    • 2025년 주요 규제 현황 :
      • 대출금액 1억 원 이상 시 : DSR 40% 적용 (1금융권 기준)
      • 스트레스 DSR 시행 (2025년 7월 2단계 확대) : 미래 금리 변동 위험을 반영하기 위해 가산금리(스트레스 금리, 2025년 기준 1.5%p 예상)를 대출 금리에 부과하여 대출 한도를 산출합니다.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뿐만 아니라 기타 대출까지 포함될 예정이며, 이로 인해 대출 한도는 기존보다 줄어들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다. DTI (Debt to Income, 총부채상환비율) DTI는 연 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과 '기타 부채의 연간 이자'가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DSR과 달리 기타 부채는 원금이 아닌 이자 상환액만 계산에 포함됩니다. 현재는 개인별 DSR 규제가 전면 시행되면서 DTI보다는 DSR이 대출 한도 결정에 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산출 공식 : DTI = ( (주택담보대출 연간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부채 연간 이자 상환액) / 연간 소득 ) × 100
    • 2025년 주요 규제 현황 :
      • 투기과열지구 : DTI 40%
      • 조정지역 : DTI 50%
      • 비규제지역 : DTI 60%
      • 생애최초 구입자, 실수요자 : 지역 무관 DTI 60%

    라. 한도 계산 예시 * 조건 : 연봉 5,000만 원, 무주택자, 비규제지역 6억 원 아파트 구매, 기존 신용대출 3,000만 원(연리 5%, 5년 만기, 연 원리금 상환액 약 679만 원) * LTV 한도 : 6억 원 × 70% = 4억 2,000만 원 * DSR 한도 : 1. DSR 규제에 따른 연간 최대 원리금 상환액: 5,000만 원 × 40% = 2,000만 원 2. 주택담보대출에 할당 가능한 연간 원리금: 2,000만 원 - 679만 원(기존 신용대출 원리금) = 1,321만 원 3. 1,321만 원을 30년 만기, 연 4% 금리의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으로 역산 시, 대출 가능한 최대 원금은 약 2억 2,800만 원 이 됩니다. * 최종 한도 : LTV 한도(4억 2,000만 원)와 DSR 한도(2억 2,800만 원) 중 더 낮은 금액인 2억 2,800만 원 이 최종 대출 가능 금액이 됩니다. 이처럼 모든 지표를 충족해야 대출이 가능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5. 주택담보대출 온라인 계산기 활용법 총정리 (한도 조회 및 이자 계산)

    바쁜 일상 속에서 은행 방문 없이도 온라인 계산기를 통해 예상 한도와 이자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중에 다양한 주택담보대출 계산기가 있지만, 여기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네이버 주택담보대출 계산기'를 예시로 설명하고, 은행 자체 계산기의 장점도 함께 알려드립니다.

    가. 네이버 주택담보대출 계산기 * 특징 : 네이버 주택담보대출 계산기는 대출 금액, 기간, 금리, 상환 방식 등을 입력하여 월별 상환액과 총 이자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DSR을 직접 계산해 주지는 않지만, 대출 희망 금액에 따른 월 상환액을 파악하여 개인의 DSR 기준에 맞는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좋은 도구입니다. * 사용법 : 1. 네이버 검색창에 '주택담보대출 계산기'를 검색합니다. 2. 나오는 이자계산기 화면에서 필수 정보 입력 : * 대출금액 : 희망하는 대출 금액을 숫자로 입력합니다. (예: 200,000,000원) * 대출기간 : 상환 기간을 연 단위로 입력합니다. (예: 30년) * 연이자율 : 예상되는 대출 금리를 % 단위로 입력합니다. (예: 4.0%) * 상환방법 : '원리금균등', '원금균등', '만기일시' 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합니다. 3.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4. 결과 확인 : * 총 대출이자 : 대출 기간 동안 납부하게 될 총 이자액이 명확하게 표시됩니다. * 총 상환금액 : 대출 원금과 총 이자를 합한 전체 상환 금액이 표시됩니다. * 월 상환금액 (1회차 기준) : 선택한 상환 방식에 따른 1회차 월 상환액이 표시됩니다. 원리금균등은 매월 동일하며, 원금균등은 1회차 상환액이 가장 크고 점차 줄어드는 특징을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활용 팁 : * 다양한 대출 금액, 금리, 기간, 상환 방식을 입력하며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조건을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습니다. * 특히, 원리금균등과 원금균등 상환 방식 간의 총 이자 차이와 월 상환액 변화를 비교하여 어떤 방식이 본인의 현금 흐름에 더 유리한지 판단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여러 시나리오를 가상으로 적용해보고 자신에게 최적의 조건을 찾는 과정을 거치세요.

    나. 은행 웹사이트/앱 계산기 * 특징 : 각 은행의 공식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에 접속하면 해당 은행의 실제 대출 상품(금리, 우대조건 등)을 기반으로 한 계산기를 제공합니다. 이는 네이버 계산기보다 더 현실적인 대출 가능 금액과 이자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부 은행은 연 소득과 기존 부채 정보를 추가로 입력하여 DSR까지 반영한 대출 한도를 추정해 주기도 하므로, 실제 대출 전에는 반드시 주거래 은행의 계산기를 활용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사용법 :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